본문 바로가기
만물상

주식용어공부_028

by 창조대길 2017. 4. 9.
반응형



[ 액면가 뜻 ]


액면가란 기업이 주식을 최초로 발행할 때 정한 주식 1주당 가격을 말한다. 흔히 말해서 장부상의 1주당 가격이라고도 한다. 최초로 주식을 발행할 때 1주당 액면가를 5,000원으로 정하고 주식을 발행한다. 액면가는 장부상의 가격이다. 그래서 기업의 주식이 상장을 하면 장부상으로는 5,000원짜리 1주 주식이지만 증권시장에서는 그 가치가 인기있느냐에 따라 상승할 수도 있고 하락할 수도 있다.




[ 액면가의 예 ]


예를들어, A라는 기업이 액면가 5,000원짜리 주식을 10만주를 발행한다고 하자.


그러면 A라는 기업의 시가총액은 5억이다. 그러면 A라는 기업은 액면가 5,000원짜리 주식 10만주를 발행하여 일반 투자자들에게 알린다.


그래서 1주당 5,000원짜리 주식이 거래가 되는 것이다. 만약 그 후에 A라는 기업의 주식이 상장이 되었다면 주식 1주당 5,000원당 액면가가 그대로 유지될까?


그것은 아니다. 주식이 상장되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듯이 상장 이후 하루에도 몇번씩 주가가 변동되게 된다.




[ 정리 ]


A라는 기업이 1주당 액면가 5,000원짜리(장부상 가치) 주식을 총 10만주를 발행했다.


그리고 상장이 된 후 일반 투자자들이 주식을 사고 파는 과정에서 1주당 액면가 5,000원짜리 주식을 서로 사거나 팔려고 한다.


 그런데 만약 A기업 주식이 인기가 있다면 액면가가 5,000원 짜리 주식의 가치가 증권시장에서 8,500원에 거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인기가 없다면 증권시장에서 1주당 가치가 2,500원에 거래될 수도 있다.


그래서 액면가란 최초로 주식을 발행할 때 장부상의 가치를 말하는 것이고, 그 후에 증권시장에선 주식이 인기가 없느냐에 따라서 장부상의 가치보다 비싸게, 혹은 저렴하게 거래가 되는 것이다.



반응형

'만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용어공부_032  (0) 2017.04.09
주식용어공부_031  (0) 2017.04.09
주식용어공부_030  (0) 2017.04.09
주식용어공부_029  (0) 2017.04.09
주식용어공부_027  (0) 2017.04.09
주식용어공부_026  (0) 2017.04.09
170407 상한가하안가 이유  (0) 2017.04.09
주식용어공부_025  (0) 2017.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