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만물상

주식용어공부_027

by 창조대길 2017. 4. 9.
반응형




[ 미체결이란? ]


주식을 할 때 미체결이 되는 경우도 있다. 미체결이란 쉽게 말해서 체결이 안되었다는 뜻인데, 예를들어 매수, 매도 주문을 했는데 1건도 체결이 안 되는 경우도 있고 또는 100개의 물량을 사려고 했는데 그 중 40개만 체결되고 나머지는 미체결 되는 경우도 있다.




[ 미체결 뜻 ]


미체결의 뜻은 말 그대로 체결이 안되었다는 뜻이다. 체결이 안 되는 이유는 다양한데, 예를 들어 매수, 매도 가격이 맞지 않았다거나 혹은 수량부족, 장 마감 등 이유가 다양하다.


구체적으로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




[ 매수, 매도 가격 불일치 ]


쉽게 말해서 현재 10,000원에 거래되는 주식이 있다고 치고, 10,000원을 기준으로 100원 단위씩 매수, 매도가가 형성되어 위로는 10,000원, 10,100원, 10,200원 식으로 물량이 남아있고, 아래로는 9,900원 9,800원 식으로 물량이 남아있다고 가정하자.


그 후 11,500원으로 매도를 하려고 매도 주문을 냈으나. 현재 주식은 10,000원대를 기준으로 100원을 플러스 마이너스 상한선을 가지고 거래가 되고 있기 때문에 주가가 11,500원이 되기 전까지는 매도 주문이 체결이 안된다.




[ 물량 부족, 과다 ]


물량이 부족한 경우도 있다.
10,000원이 거래되는 주식이 있다고 가정하자. 그런데 10,100원대에 물량이 약 10만주가 있고, 9,900원에도 물량이 10만주가 있다고 예를들어보자. 이때 9,700원에 5주를 매수하려고 하면 매수가 가능하지 않다. 이럴경우 9,900원에 있는 물량 10만주가 모두 소진된 다음에 9,800원을 지나 9,700원에 매수주문이 체결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처럼 물량이 한쪽 주가에 넘쳐나면 나머지 가격대에서는 미체결이 되는 경우가 있다.

반응형

'만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용어공부_031  (0) 2017.04.09
주식용어공부_030  (0) 2017.04.09
주식용어공부_029  (0) 2017.04.09
주식용어공부_028  (0) 2017.04.09
주식용어공부_026  (0) 2017.04.09
170407 상한가하안가 이유  (0) 2017.04.09
주식용어공부_025  (0) 2017.04.07
주식용어공부_024  (0) 2017.04.07